통상본부장 “베트남 진출기업 경영 불확실성 최소화 노력”
11월 25일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베트남에서 활동 중인 한국 기업들과 원탁회의를 열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 하에서 예상되는 미국 무역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
내년 출범할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정부가 대미 무역수지 흑자 폭이 큰 베트남에 대한 통상압력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가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에 끼칠 파장을 점검하고 나섰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가운데)이 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베트남 진출기업 간담회에 앞서 주요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5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베트남 진출기업 간담회를 열고 이들 기업 관계자와 트럼프 2기 정부의 대(對)베트남 통상정책 변화와 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멕시코, 베트남 등 대미 무역수지 흑자 폭이 큰 지역에 진출한 우리 기업 관계자와 연이어 만나 관련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베트남에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포스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S일렉트릭, 영원무역 등 9000여 우리 기업이 진출해 현지 수출 생산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베트남의 전체 수출 중 우리 기업 생산 제품의 비중이 크고 이중 상당수는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삼성전자 1개 기업이 베트남 전체 수출의 5분의 1을 도맡고 있을 정도다.
그만큼 미국의 대베트남 통상압력은 현지 진출한 우리 기업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전 세계를 상대로 10~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는 동시에 베트남 등 자국을 상대로 큰 폭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국가를 중심으로 관세 압력을 예고해 왔다.
정 본부장은 “내달 있을 한-베트남 산업·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를 비롯한 양국 협력채널 가동으로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경영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베트남

2025년 세계 행복 보고서 46위 기록, 동남아시아 2위로 역대 최고 행복지
M
트립하우스
2025.03.22

베트남과 중국, 지방 외교 활동 강화로 협력 심화
M
트립하우스
2025.03.01

한국 투자자들의 새로운 '맛', 베트남 투자 확대 전망
M
트립하우스
2025.02.25

베트남 도시별 경제규모 순위, 1위는 호치민
M
트립하우스
2025.02.14

하노이 아파트임대료, 아시아에서 가장 비싼편
M
트립하우스
2025.02.12

도널드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베트남의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M
트립하우스
2025.01.25

FDI 대기업 투자선호 베트남 10개 지역
M
트립하우스
2024.12.31

호치민시 출산장려금, 35세 이전에 두 아이를 낳은 여성에게 300만VND
M
트립하우스
2024.12.28

베트남 무역흑자 243억 1천만 달러, 수출 7개 품목 100억 달러 초과
M
트립하우스
2024.12.24

달랏 꽃축제 개막, 200만명 방문객 예상
M
트립하우스
2024.12.19

베트남과 한국, 에너지 안보 분야에 손잡아
M
트립하우스
2024.12.16

베트남 부동산 가격, 미국·일본보다 빠르게 상승
M
트립하우스
2024.12.12
이미지 없음
베트남 기업 82%, 2025년에 임금 인상 계획
M
트립하우스
2024.12.08

다낭 하이테크 파크, 1억7천7백만 달러 규모의 FDI 프로젝트 추가 유치
M
트립하우스
2024.12.04

통상본부장 “베트남 진출기업 경영 불확실성 최소화 노력”
M
트립하우스
2024.11.30